너희는 사도들과 선지자들의 터 위에 세우심을 입은 자라 ⑷
너희는 사도들과 선지자들의 터 위에 세우심을 입은 자라 ⑷
교회 공동체
성경 시대의 교회
1. 구약교회
에덴동산의 아담의 가족교회 ― 그때부터 예배의식인 제사가 있었음
홍수 후 노아의 가족교회 ― 그들도 방주에서 나오던 날부터 번제를 드렸고 가정교회였음
아브라함의 가정교회 ― 소수의 가족과 종들
야곱 때는 70명에 이르렀고 종들도 많았음
점차 이스라엘 민족(국가)으로 자라 큰 공동체가 됨 ― 이스라엘 총회라 부름
이 교회는 함께 모세의 가르침을 받았으며 함께 절기도 지키고 공동 제사도 드렸지만 12지파 별로, 다시 종족 또는 족속 별로, 더 작게는 가족 별 조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(민 1 : 2, 4, 20, 수 7 : 14).
지금의 대형교회에는 대교구, 소교구, 다시 구역으로 조직이 단계적으로 되어 있음
전통적인 제도로는 총회 ― 노회 ― 시찰회 ― 교회 ― 구역으로 조직되어 있었음
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에 정착한 후에는 지파 별로 기업의 땅을 분배하여 살았고, 다시 마을 별로 분산되어 살면서 작은 도시국가 형태의 조직과 그 아래 가족 중 심의 구조를 가지고 목축업과 농업에 종사하였을 것이고 예배(제사)나 교육도 그러한 구조 안에서 이루어진 듯함
2. 신약교회
⑴ 예수님은 12제자와 많은 시간을 보내시면서 가르치시고 교제하시고 같이 생활하셨습니다. 그리고 좀더 많은 제자들(예, 70명의 제자)과의 교제도 하셨고, 때 로는 마을 회당에서 예배드리시고 가르치셨고, 때로는 들판이나 산에서 수천 명의 무리에게도 가르치셨습니다. 이때도 2-3일씩 공동생활을 하기도 하셨습니다.
⑵ 예수님이 승천하신 후 120명의 초대교회가 모였었고(행 1장), 예루살렘 교회가 1-2만 명으로 늘어나자 12사도가 분담하여 여러 개의 작은 교회로도 모였을 것이고, 작게는 가정교회로도 모여 예배와 찬송과 성찬 예식을 가졌던 것을 볼 수 있습니다 (행 2 : 42-47, 행 9 : 32, 12 : 12 참조).
⑶ 바울 선교지 교회
바울이 복음을 전한 마을마다 작은 교회가 있었습니다. 빌레몬의 집에서 모인 가정교회와(몬 1) 빌립보의 강가 모임 또는 기도회와(행 16 : 13), 눔바의 가정교회(골 4 : 15) 등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