그룹성경공부의 원리
윤종하 장로
1. 사회자를 위한 지침
⑴ 성경 본문 안에서 생각하고 토의할 것. 이론적(상식적)으로 말하지 말고 성경 본문에서 해답을 찾을 것
⑵ 사회자는 결코 교사나 강사가 아님을 명심할 것(대개의 경우, 토의식 그룹공부의 실패는 사회자의 지식과 조급함과 노파심 때문에 참석자들의 생각할 시간이나 능력, 의사 발표의 기회를 막아버리기 때문이다.)
⑶ 사회자는 울타리만 쳐 주고 곁길로 못 가게 잘 이끌어주고, 모든 참석자들이 토의에 자유롭게 참여하도록 격려하고 유도해 주는 구실만 할 것
⑷ 절대로 사회자 자신의 질문에 스스로 대답하지 말 것. 아무도 반응을 보이지 않을 때에는 질문을 다시 고쳐 말하든지, 아니면“질문이 명확합니까?”하고 물어보라.
⑸ 그러나 침묵을 두려워하지 말라. 답을 찾을만한 시간을 부여하라. 당신이 답을 찾아내는 데에도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되었음을 기억하라.
⑹ 질문을 받았을 경우, 성급하게 대답하지 말고 여러 사람이 그 질문에 대답해 보게 하고, 또 질문한 사람 자신의 생각을 말해 보게 하라.
⑺ 꼭 한 가지 대답에만 만족하지 말라. 언제든지 더 많이 사람이 토론에 참여하도록 하라.
⑻ 모든 발언은 일단 받아들이라. 대답이 어떻든 거절하지 말라. 의심스런 답변이 나왔으면“어떤 구절에서 그런 답이 나왔죠?”혹은“그거 굉장히 흥미 있는 점인데,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?”하고 물어보도록 하라.
⑼ 한 가지 논점에 대해 집중하고, 성경의 이곳저곳을 찾은 일은 피하라. 만약 사람들이 연구하기로 한 본문의 범위를 넘어가려고 하면“어떤 구절에서 그런 결론이 나왔습니까?”하고 물어보라. 만약 어떤 사람이 빗나간 질문이나 문맥에 맞지 않는 연관된 구절에 대해 토론하고자 하면, 이 공부가 끝난 뒤 이야기하면 어떻겠느냐고 말한다.
⑽ 논쟁을 두려워하지 말라. 논쟁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. 생각을 억누르기보다는 생각을 유도하도록 하라. 당신이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지도 모르지만, 그것 때문에 고민하지 말라. 모든 성경 구절을 전부 명확하게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다.
⑾ 토의의 결론이 사회자의 생각과 일치해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라.
2. 그룹성경공부의 중요성
⑴ 교회 역사를 보면
① 교회가 부흥할 때 소그룹이 일어났고
② 교회가 박해를 받을 때 소그룹이 일어났고
③ 소그룹은 2세기까지 교회 생활의 기본단위였다(Howard Snyder).
⑵ 성경에서 보면
① 최초의 소그룹 - 아담, 하와
② 항상 ‘남은 자’ 즉 작은 수가 중요시 되고 있다.
③ 예수님 - 한 사람 한 사람 작은 수에 더 깊은 관심을 가지심
요 2:13-25 많은 무리에 기대를 하지 않으심
3장 - 니고데모 4장 - 사마리아 여인
5장 - 38년 된 병자 6장 - 큰 무리와 12제자의 대조
8장 - 간음 중에 잡힌 여인 9장 - 날 때부터 소경된 자
11장 - 나사로의 가정 13장 이하 - 12제자의 훈련
3. 그룹 성경공부의 원리
⑴ 구원론에 대한 이해
① 개인 구원론에 대한 문제점
* 하나님 나라와 교회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개인 구원에 집착
* 개인주의의 만연
* 현대 교인의 문제점
② 개인주의 - 죄의 본질
* 아담, 탕자의 죄
* 가인의 죄
* 엡 2:1-3 → 죄란?
* 마 16:21-28
16:24
③ 구원은 공동체(하나님 가족)에 소속되는 것
* 엡 1:3-6 → ‘그리스도 안에서’
‘자기(하나님)의 아들들이 되게 하심’
* 구원은 개인이 아니라 공동체로 이루어짐
* 살전 4:13-18 참고
⑵ 성경은 공동체를 중요시한다.
① 하나님의 목표(뜻) → 엡 1:9-10
② 성경의 예
창 1:26 하나님(三位一體)
사람 → 하나님과 한 공동체 안에서 인격적(人格的) 교제 위해 창조
1:28 공동체에 대한 축복
2:18 공동체로 살아가도록 의도, 가정 = 공동체의 훈련장
3장 타락으로 공동체 깨어짐
4장 가인의 죄, 인간들 → 이기적 문명 발전시킴
6-8장 죄의 관영(하나님의 경고 무시하고 자기중심적인 삶), 하나님의 심판
9:1 노아에게 다시 공동체 번성에 대해 약속
11장 바벨탑 쌓음 - 하나님 없는 인간 공동체를 흩으심
12:1-3 아브라함을 불러내어 공동체를 이루시겠다고 약속하심
그 이후로 아브라함의 후손인 이스라엘 나라(백성)를
하나의 공동체로 인도하시고 훈련하심
⑶ 그룹성경공부의 목적
① 공동체 훈련을 위한 것이다(엡 2:11-22, 4:1-6).
하나 됨의 중요성. 요 17:11, 20-23 → 예수님의 기도
② 함께 삶을 나누기 위한 것이다.
* 신약성경에서는 신자간의 관계의 중요성을 많이 강조한다.
갈 6:2, 히 10:24, 빌 2:4, 살전 5:14
* 삶을 나누는 것이므로 그룹성경공부는 신학적이거나 교리적이거나 이론적인 내용보다 삶 자체를 나누는 것이어야 한다.
QT Sharing으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 함
* 진실한 자신의 삶을 나누도록 해야 한다(엡 4:25).
③ 함께 성장하기 위함이다(엡 4:7-16)
1) 성장의 내용(13절) : 믿는 것, 아는 것, 온전한 사람
2) 성장의 방법(16절) → 서로의 공급을 통해서
④ 스스로 자라게 하기 위한 것이다(설교와 강의는 수동적, GBS는 능동적)
4. 그룹성경공부의 실제
⑴ G.B.S. 운영에 따른 두 가지 기본 법칙
① 성경을 대화로 나누어야 한다(대화식, 질문식 성경공부)
② 그룹의 유일한 권위자는 성경이다.
⑵ G.B.S.에 있어서의 두 가지 질문 패턴
①“성경은 무엇을 말하는가?” 하나님의 근본 의도 - 본래의 의미
②“성경은 내게 무엇을 말하는가?” 그 의미를 현재의 내 생활에 적용
<질문법>
1) 평이하면서도 쉬운 질문
2) 여러 각도에서 질문(개념, 배경, 의미 파악 위해)
3) 한 절 한 절 차근히 질문
4) 대상에 따라 질문 내용을 바꿔야 함